반응형
청년도약계좌는 만 19세부터 34세까지의 청년들이 중장기적인 목돈 마련을 지원받을 수 있는 금융 상품입니다. 정부의 기여금과 비과세 혜택을 통해 최대 5,000만 원의 자산 형성이 가능합니다.
가입 대상
- 연령 조건: 만 19세 이상 34세 이하의 청년. 병역 이행 기간은 최대 6년까지 연령 계산에서 제외되어, 해당 기간만큼 가입 연령이 연장됩니다.
- 소득 조건:
- 개인 소득: 직전 과세 기간의 총 급여액이 7,500만 원 이하이거나 종합소득금액이 6,300만 원 이하인 경우
- 가구 소득: 가구원의 소득 합산이 기준 중위소득의 250% 이하일 것.
- 가구요건: 가구원 수에 따른 기준 중위소득 250% 이하일 것 (해당 않되면 세대분리 후 가입)
- 금융소득종합과세: 가입일이 속한 과세 기간의 직전 3개 과세 기간 중 1회 이상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에 해당하지 않는자
납입 및 지원 내용
- 납입 금액: 월 1,000원부터 최대 70만 원까지 자유롭게 납입 가능 (가입일에 관계없이 매월 1일~ 말일까지, 연간한도 840만원 초과 불과)
- 가입기간: 5년 유지 (비과세, 5천만원 목돈 )
3년 이상 유지 (정부기여금 환수 없고 비과세 혜택)
2년이상 유지 800만원 이상 납입시 (신용점수 가점, 만기전 납입액 40%까지 인출 가능)
- 적금이율: 최대 6% (기본금리 3.8%~4.5% , 가입 후 3년 고정금리, 이후 2년 변동금리)
※ 은행 연합회 소비자 포털 (청년도약계좌 금리 비교) 참고
- 정부 기여금: 소득 구간에 따라 월 납입액의 일정 비율을 정부가 지원합니다.
※ 개인소득 6,000만원 초과 및 '소득없음'의 경우 정부 기여금 미지급
※ 육아휴직급여(육아휴직수당 포함) 및 군장병급여만 있는 경우 정부기여금 매칭비율 6% 적용
가입 절차
- 가입 신청 기간: 매월 1일부터 10일까지 지정된 은행의 모바일 앱을 통해 가입신청 및 계좌개설 가능
- 자격 확인: 신청 후 소득 및 연령 등 가입 요건을 확인합니다.
- 계좌 개설: 자격 확인이 완료되면 지정된 기간 내에 계좌를 개설합니다.
※ 세부일정은 서민금융진흥원 홈페이지 공지사항 https://www.kinfa.or.kr
서민금융진흥원 홈페이지
www.kinfa.or.kr
유의 사항
- 중도 해지 시: 정부 기여금은 지급되지 않으며, 일부 은행에서는 중도 해지 이율을 적용합니다.
- 비과세혜택: 3년이상 유지 시 정부 기여금 환수없고 비과세
- 부분 인출 서비스: 2년 이상 가입을 유지하고 800만 원 이상 납입한 경우, 납입 원금의 40% 이내에서 부분 인출이 가능합니다. 이 서비스는 2025년 하반기 중 시행될 예정입니다.
- 신용평가 점수: 2년 이상 가입을 유지하면 개인 신용평가 점수가 5~10점 이상 자동으로 부여됩니다.
※ 문의처: 1397 서민금융콜센터 1397 > 바로 '3'번
은행별 청년도약계좌 예시
- KB국민은행: 힘찬 미래 높은 도약 KB청년도약계좌
- 가입 경로: 스타뱅킹
- 기간: 60개월
- 금액: 월 1,000원 ~ 70만 원
- 금리: 연 4.5% ~ 6.0%
- 하나은행: 하나 청년도약계좌
- 특징: 정부 기여금 및 비과세 혜택 제공
- 가입 대상: 만 19세 이상 ~ 만 34세 이하의 청년으로, 소득 요건 충족 시 가입 가능
청년세대의 공정한 도약의 기회 보장을 위해 중장기 자산형성 지원으로 사회 출발 시 자립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할 수 있는 정책 지원금 많이 지원해 보세요!
《출처 서민금융진흥원》
반응형
'복지 톡톡!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025 결혼할 예비부부 결혼식장 서비스 가격 공개 (4) | 2025.04.03 |
---|---|
꿈 넘어 꿈 (3) | 2025.04.02 |
2025년 '경기청년 사다리 프로그램' (4) | 2025.03.30 |
청년버팀목 전세자금 대출 (12) | 2025.03.22 |
맞춤형 급여 안내 (복지멤버십) (20) | 2025.03.20 |